학습내용

  • 공용체
  • 열거체

학습목표

  • 공용체의 개념을 알고 구현할 수 있다.
  • 열거체의 용도를 알고 코드에 적용할 수 있다.

 

공용체

1. 공용체 활용

  • 동일한 저장 장소에 여러 데이터 타입을 저장하는 자료구조

 1) 멤버들이 메모리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기법

 2) 공용체의 크기는 공용체의 멤버 중 가장 크기가 큰 멤버에 의해 결정

    - 공용체 변수를 초기화할 때는 첫 번째 멤버의 초기값만 지정

    - 공용체의 멤버에 접근할 때도 '.'와 '->' 연산자를 사용함

    - 구조체와 공용체 비교

 

2. 비트필드

 1) 구조체가 가진 멤버를 비트 단위로 사용

 2) 비트필드 정의

 3) 메모리에 할당할 때, 첫 번째 멤버를 최하위 비트에서부터 할당

 4) 비트필드의 멤버에 표현 가능한 범위 밖의 값을 저장하면 오버플로우가 발생

 5) 비트필드를 정의할 때는 중간에 일부 비트를 비워두고 멤버를 특정 비트에 할달할 수 있음

    - 리틀 엔디안과 빅 엔디안

 

열거체

1. 열거체 활용

  • 나열된 정수 값 중 하나를 갖는 정수형의 일종

  • 일종의 사용자 정의형
  • 열거체 변수에는 열거체 정의에 나열된 열거 상수 중 하나를 저장하고 사용

  • 열거 상수만 정수형 상수로 정의할 수도 있음

    - 프로그램 가독성(Read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

2. typedef

 1) 재정의

  • 데이터 타입의 이름을 새로운 이름으로 재정의
  • 코딩의 편리성 증대
  • 프로그램의 시스템 간 호환성 향상

 2) 편리성

 3) 호환성

 

학습정리

1. 공용체

  • 공용체는 멤버들이 메모리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임
  • 비트필드는 구조체 멤버를 비트 단위로 할당하여 사용함

2. 열거체

  • 열거체는 정수형의 일종으로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을 열거 상수로 나열하는 것임
  • typedef은 기존의 데이터형에 새로운 이름을 만드는 기능임
  • typedef는 호환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함

'국비지원 학원 - JAVA기반 스마트앱 개발2021 > 프로그래밍 언어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리지 클래스  (0) 2021.07.31
함수의 인자  (0) 2021.07.31
구조체  (0) 2021.07.30
포인터와 문자열  (0) 2021.07.30
포인터 활용  (0) 2021.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