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기본 구조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part 1
프로그램 기본 구조
학습내용
main()함수
출력문장 구현
학습목표
C언어의 기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주석문을 사용할 수 있다.
화면에 글자를 출력할 수 있다.
main() 함수
1. 함수의 정의
1. 정의
1)함수
(1) 입력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출력
(2)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내용을 모아두는 묶음
2. main() 함수
1) C언어는 하나 이상의 함수로 이루어짐
2) 실행 가능한 하나의 프로그램에는 반드시 하나의 main() 함수가 존재함
3) C언어는 main() 함수를 수행하는 언어임
2. 기본 구조
1. 프로그램 기본 틀
- #include --- 헤더파일(라이브러리 사용을 위한 준비
- int main(){ --- 프로그램 시작점
- } --- 프로그램 종료
2. 코드 작성 준비
1) 소문자로 작성해야 함
2) 식별자는 대소문자를 구분
3) 함수의 시작과 끝은 { }로 구분
4) 하나의 문장 끝은 ;(세미콜론)으로 마무리
출력문장 구현
1. 주석문
1. 주석문
1)함수
(1) 프로그램 내에서 코드 등을 설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
(2) 프로그래머에게만 보이고 컴퓨터에서는 처리되지 않는 문장
(3) 여러 줄 주석 : /* */
(4) 한 줄 주석 : //
2. 출력문
1) printf(" "); 을 사용
2) 표준출력장치(화면)에 " "에 지정한 글자를 나타내는 함수
3) 헤더파일 stdio.h에 선언
4) 출력문 작성 예시 : Hello World!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World!"); //출력 문장
return 0;
}
5) 출력문 작성 오류 예시 : Hello World!Good Mornin!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World!"); //출력 문장
printf("Good Mornin!");
return 0;
}
6)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Sequence)
(1) \n : 커서를 다음 줄(New Line)로 이동
(2) \t : 커서를 수평으로 탭(tab)만큼 이동
(3) \\ : 원화문자를 화면에 출력
(4) \" : " 문자를 화면에 출력
(5) \' : ' 문자를 화면에 출력
(6) \f : 커서를 다음 페이지(Form Feed)의 처음으로 이동
(7) \b: 커서를 한 칸 이전으로 옮김(Back Space)
학습정리
1. main() 함수 알아보기
- C언어는 헤더파일과 함수로 구성됨
-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에는 하나의 main() 함수가 반드시 존재함
- C언어는 소문자로 문장을 기술해야 함
- 식별자는 대소문자를 구분함
- 하나의 문장 끝에는 반드시 ;(세미콜론)을 기술함
2. 출력문장 구현하기
- 표준 출력 문장으로 많이 사용되는 함수로 printf(); 가 있음
- 출력할 내용은 " " 내에 기술함
- newline, tab, form feed 등과 같은 이스케이프 문자가 있음